![](https://blog.kakaocdn.net/dn/ckYxT3/btrNnsBVMcL/Lu2GOImtuccJW5KQo9G9q0/img.jpg)
재생 가능 에너지라고 말하면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등이 유명하지만, 그 기본적인 구조는 오래전부터 그다지 변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유형의 파력발전기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가 다시마처럼 해류에 뒤틀리는 해류 발전기를 고안한 것입니다.
이 발전기에 이용되고 있는 것은 2022년 8월 2일 특허받은 '분산형 에너지 변환 기술(DEEC-Tec)'로 불리는 새로운 기술입니다.
본 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9월 19일 자 NREL 프레스 릴리스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요약
- '에너지 변환기의 집합체'가 새로운 발전 시스템을 창출하다
- 다시마처럼 해저에서 비틀리며 발전하다
'에너지 변환기의 집합체'가
새로운 발전 시스템을 창출하다
풍력 발전에서는 바람의 힘으로 풍차가 돌아가며 그 회전 운동을 발전기로 전달하여 전력을 생성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V1Rci/btrNom2tc6l/L2gZNCmqRJIfi26MluQ1m1/img.jpg)
마찬가지로 기존의 발전 시스템의 대부분은 많은 강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접 터빈을 돌리거나 받은 에너지를 외부 발전기 쪽으로 전달하기도 합니다.
또한 한 개의 발전 시스템에 대해 하나의 에너지 변환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새롭게 개발된 기술 분산형 에너지 변환 기술(DEEC-Tec)에서는 하나의 발전 시스템에 대해 여러 개의 소형 에너지 변환기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물론, 단순히 많은 소형 터빈을 연결한다든지 하는 단순한 시스템은 아닙니다.
이번 연구팀에 따르면 DEEC-Tec 기술은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유전 엘라스토머와 같습니다.
유전 엘라스토머란 전기장에 의해 왜곡되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인공 근육으로서의 응용이 기대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 유전 엘라스토머가 '전력에 의해서 소재를 왜곡하는'것과는 반대로 DEEC-Tec기술에서는 '소재의 왜곡으로 인해서 전력을 생성하는 기술'인 것입니다.
즉, 유연성이 있는 소재 하나하나가 발전기(에너지 변환기)로서 기능하는 시스템인 것입니다.
DEEC-Tec에서는 이들 여러 소형 발전기를 마치 근육 세포처럼 조합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Yl2I/btrNjrD8Wdi/YEKZxmaryJOFtkAbnFGbJK/img.jpg)
연구팀은 DEEC-Tec 기술을 바다뱀에 비유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바다뱀이 헤엄칠 수 있는 것은 많은 유연한 근육세포가 복잡하게 연계돼 있기 때문입니다.
DEEC-Tec에서는 개별 에너지 변환기가 근육세포처럼 연계되어 바다뱀과 같은 큰 구조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를 변환하는 많은 장치들에서는 하나의 변환기를 사용하지만 DEEC-Tec은 많은 소형 변환기를 모아서 더 크고 때로는 유연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즉, DEEC-Tec이란 유연성 있는 소형 에너지 변환기의 집합체로 그 특성에 따라 지금까지는 없었던 발전 방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어떤 응용이 가능할까요?
다시마처럼 해저에서 비틀리며 발전하다
DEEC-Tec을 이용한 새로 개발된 발전기 중 하나는 바닷속에서 자라는 다시마와 비슷합니다.
판형 발전기가 해저에 고정됨으로써 해류를 받으며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정도로 비틀리거나 하며 거동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7Jz/btrNoEWczl5/fkMEa4pijGWONp8jBRcVO0/img.jpg)
이를 통해 발전기를 구성하는 수백, 수천 개의 소형 변환기가 흔들리거나 뒤틀리며 전력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발전 시스템은 하나의 변환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손상되면 모든 기능이 정지됩니다.
그런데 DEEC-Tec의 발전 시스템이라면 설사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변환기의 작용으로 인해 전체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게 가능해집니다.
또한 기존의 파력발전과 해류발전에서는 강성 재료를 물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견고하고 값비싼 철골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유연성이 있는 DEEC-Tec에서는 그럴 필요 없으므로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5rQo/btrNobUpSPG/jypBOJiM7CD5KKRjIjzZ1K/img.jpg)
물론, DEEC-Tec은 '다시마형 발전기'이외의 응용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파도의 힘으로 바다뱀처럼 해수면을 헤엄치게 해서 그 움직임으로 발전하는 파력발전기가 이미 고안되어 있습니다.
또한 내부에 추를 붙인 볼 타입의 파력발전기도 있습니다.
이것을 바다에 띄운다면 관성에 의해 내부의 메쉬 소재에 뒤틀림이 생겨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더 큰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DEEC-Tec이 '보행 시 스마트워치를 충전하는 의류' '바람의 진동으로 발전하는 건물' '자동차 주행 마찰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도로' 등 폭넓은 발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DEEC-Tec은 이미 특허 취득을 완료했으며 향후 개발과 관련 보고에도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참고 원문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
■ Elastic, robotic generators open up strange new energy capture ideas
■ Patented Wave Energy Technology Gets Its Sea Legs
https://www.stylec.co.kr/short/xeuuSgpru0
[STYLE C] 퀸메이드 트위스트 킹 쵸퍼 믹서기
82% OFF → 20,500원, 공유판매 시 3% 추가 적립!
stylec.onelink.me
파력발전기 관련 이전 글은 아래 링크
https://mararin.tistory.com/m/358
수면에 띄우기만 하면 발전이 가능한 파력발전기!
바다는 끊임없이 파도치고 있으며, 그것은 자연이 발생시키는 큰 에너지로 바다 전체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재생에너지가 파력발전인 것입니다. 다만, 이 발전 방법은 발전량에 대
mararin.tistory.com
'과학,IT,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된 테슬라 로봇은 좋든 나쁘든 기대했던 대로였다 (2) | 2022.10.06 |
---|---|
타조로봇이 '이족보행 로봇으로는 100m 달리기 세계기록' 을 달성! (0) | 2022.10.03 |
드론에 프로펠러가 없다! '이온 바람으로 나는 드론'소음 문제를 해결 (1) | 2022.09.23 |
마치 영화의 베놈같다! 작은 부품으로 분열과 재결합이 가능한 '자성유체 로봇'을 개발 (2) | 2022.09.21 |
2033년에는 테슬라의 마이크로칩이 인간의 뇌 처리 능력을 넘어설지도 모른다.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