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나비와 나방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나요?
뭔가 선명하고 화려한 색상이 나비이고, 수수하면서 탁한색상이 나방일거라는 느낌이지만
사실 자연계에는 수수한 느낌의 나비도 컬러풀한 나방도 상당히 많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생물학적으로 분류된 이상 나비와 나방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래 본문에서는 나비와 나방을 잘 구분할 수 있는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나비는 주행성, 나방은 야행성
나비와 나방 모두 나비목이라는 그룹에 속해있지만 최초에는 나방과에 속해 있었습니다.
나방은 야행성 곤충으로 번성했지만 그 중에서도 낮에 활동하는 계파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것이 '나비'입니다.
낮으로 활동 시간을 이동 하면서 파트너와의 교배 에 시각적인 특징이 유리하게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나비는 형형색색하고 화려한 외형으로 변모해 갔습니다.
반면에 밤에는 화려한 옷을 입고 있어도 빛이 닿지 않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방은 파트너를 찾기 위해서는 시각보다 후각에 의지하게 됩니다.
나비는 성냥개비,나방은 빗살무늬
모양의 더듬이
나방(주로 수컷)은 멀리 암컷냄새가 안나는 떨어진 곳에서도 쉽게 찾아내는것으로 보아 특수하게 발달 된 더듬이를 지녔습니다.
따라서 나방의 더듬이는 특징적이며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거나 미세한 털로 덮여 있기도 합니다.
또는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타입의 더듬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반면 나비는 시각이 중요하기 때문에 더듬이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나비의 촉각은 대개 성냥개비처럼 끝이 둥글게 부풀어 있어 이를 보면 나비인지 나방인지 알기 쉽습니다.
나비의 번데기는 단단하고,
나방의 번데기는 부드러운 고치
성장 과정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나비와 나방은 모두 완전변태곤충이라 하여 유충성충의 과정을 거칩니다.
유충기에는 몸이 허약하고 천적이 노리기 쉬우므로 빨리 성장하기 위해 죽을힘을 다해 밥을 먹으면서
그 다음 성충의 전 준비인 번데기 시기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부분에서 차이가 나기 시작하는데 나비는 단단한 단백질 껍질로 덮이지만, 나방의 번데기는 부드러운 고치에 둘러싸여 있게 됩니다.
이후 성충으로 진화할 수 있게되면 번식을 하기위해 활동 을 시작 합니다.
날개를 사용하여 장거리를 이동하고, 열심히 파트너를 찾습니다.
나비는 날개를 세우지만,
나방은 날개를 편다
둘사이 성충기에서의 큰 차이는 나무나 꽃등에 '멈추어 쉴때'에 나타납니다.
나비는 일광욕을 위해 날개를 펼칠때도 있지만 대개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습니다.
일본에서 호랑나비가 갈대나비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때문입니다.
반면 나방은 날개를 수평방향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나비는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날개를 세우지만, 야간에 활동하는 나방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세계에는 위와같은 차이로 구분할 수 없는 나비와 나방들이 무수히 많지만 대부분 일본에서 서식하는 종이라면 식별할 수 있겠지요.
다만, 일본에는 나비가 약 250종 있는 데 비해서 나방은 그 20배가 넘는 종이 발견됩니다.
전문가들은 아직 찾지 못한 종이 있는 것 같으며, 그 중에는 나비와 같은 나방도 있을지도 모릅니다.
reference: scienceabc
원문기사는 아래링크를 참고하세요
■ https://nazology.net/archives/73267
■ https://mararin.tistory.com/m/117
http://stylec.co.kr/shop/item.php?it_id=1606279301&cid=3156541440
주인장의 인기글
https://mararin.tistory.com/m/367
'과학,IT,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이 필요없는 새로운 태양광패널?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 (2) | 2020.11.28 |
---|---|
광합성만으로 '수소'를 생성하는데 성공!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미래 에너지 실현에 가까워질까? (0) | 2020.11.27 |
눈을 감고도 영상이 보인다고? 도쿄대 '눈꺼풀 속의영상 투영장치' 를 제작 (0) | 2020.11.25 |
마른 대나무에서만 자라는 신종 '빛나는 버섯' 을 발견! 현지에서는 손전등으로 애용(인도) (0) | 2020.11.24 |
영원한 다이아몬드도 인공으로 만든다면 몇 분 안에 가능 할까요? 열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에 다이아를 합성하는 기술이 등장!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