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N
생명의 근원
'생명은 어디서 태어났을까?'
이것은 인류에게 가장 흥미로운 수수께끼입니다.
생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미노산'이라는 분자의 존재가 중요한 구성 재료 입니다.
아미노산은 생명의 설계도이기도 한 DNA의 재료.
이 아미노산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있다면 생명의 기원에 다가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11월 16일에 천문학에 관한 과학잡지 "Nature Astronomy"에서 발표된 새로운 연구는 가장 단순한 구조의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자외선의 방사가 없는 밀집한 성간구름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아미노산은 혜성등에서 검출되고 있어서 별이나 행성의 탄생보다 훨씬 이전부터 우주에 있었다고 시사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가 사실이라면 생명에 중요한 유기분자는 상상보다 훨씬 우주 곳곳에 흔하게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두운 성간 구름을 시뮬레이션한 암흑 화학
이번 발견은 암흑화학(Dark chemistry)이라는 학문에서 밝혀졌다고 합니다.
생소한 단어지만 연구의 저자인 퀸메리대의 세르조 요폴로 씨는 암흑화학은 고에너지 방사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화학을 뜻합니다라고 설명한다.
가장 단순한 아미노산으로 여겨지는 글리신은 혜성 등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우주에서 글리신이 형성 되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여겨져 연구되는 글리신의 형성환경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주에서의 화학에서는 분자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조사(고에너지의 방사선)가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그러한 제약 없이도 글리신이 동결된 먼지 표면에서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연구팀은 먼저 실험실에서 우주의 어두운 성간운 상태를 시뮬레이션 했습니다.
성간운에 떠다니는 10~20K(켈빈)의 차가운 먼지 입자는 CO, NH3, CH4, H2O가 풍부한 얼음 박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여기에서 원자끼리 충돌하여 단편화된 것이 재결합되면 글리신의 전구체(형성되기 전 단계의 분자)인 메틸아민이 가장 먼저 생성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메틸아민은 세계 최초로 혜성 착륙 조사를 한 '튀뤼모프·겔라시멘코 혜성'의 코마(혜성을 둘러싼 가스나 먼지)에서도 검출되었습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우주공간에서 메틸아민을 통해 글리신을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 한 것입니다.
생명의 근원은 우주에 흔하다
이번 연구의 중요한 점은 생명의 구성요소로 여겨 지는 분자가 별과 행성이 형성되기 훨씬 전 단계 에서 이미 형성되었음을 보여줬다는 것입니다.
별 형성 영역의 진화 초기에서 이미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이들 아미노산이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당연하게 우주 곳곳에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단 하루만에 얻은 데이터를 수백만년의 세월을 거쳐 만들어지는 성간환경에 적용하면 상당한 양의 글리신이 시간과 함께 우주공간에서 형성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글리신은 한 번 형성되면 다른 복잡한 유기 분자의 전구체로 기능합니다.
이와같은 역학과정이 계속 진행된다고 생각하면, 원리적으로는 글리신을 재료로서 알라닌이나 세린 등 다른 아미노산이 형성되어서 최종적으로는 농축된 유기 분자가 혜성 등에 포함되어 지구와 같은 젊은 행성에 전달된다고 추측할 수 있는 것입니다.
복잡한 유기분자들이 어두운 우주의 성간구름 속에서 만들어져 이곳저곳 행성으로 운반되고 있다면 우주에 생명이 넘쳐날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reference: Leiden Observatory,phys
참고 기사는 아래링크에서
A non-energetic mechanism for glycine formation in the interstellar medium
(-15%)
http://stylec.co.kr/shop/item.php?it_id=1605838893&cid=3156541440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과학,IT,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다이아몬드도 인공으로 만든다면 몇 분 안에 가능 할까요? 열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에 다이아를 합성하는 기술이 등장! (0) | 2020.11.23 |
---|---|
비타민D로 발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기초 대사(BMI)와의 관계도 밀접하다고? (2) | 2020.11.23 |
드디어 노화 과정을 역전화 시키는 데 성공!'회춘' 기술을 향해 한 걸음의 전진 (0) | 2020.11.22 |
많은 공룡들이 '목이 길고 거대'한 원인은 지구 온난화에 있었다. (0) | 2020.11.21 |
이케아가 '작은 주택' 제작 .. 지속가능성을 테마로 한 타이니 홈을 살펴보자.#이동식목조주택 (0)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