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이 아닌 액체로 가득 차 있는 벼내부 (사진B)
나고야 대학등의 연구팀이, 벼의 유전자를 게놈 편집 기술로 개변시켜, 고순도의 설탕을 생산하는 「설탕 벼」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사용된 벼는 수정에 실패하면 쌀알이 아닌 액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액체의 성분 해석에 따르면, 사탕수수당이 98%, 과당과 포도당이 1%씩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98%의 사탕수수당은 고순도인것으로 연구팀은 '제3의 제당 식물'로써 세계에 공급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하고있습니다.
현재 사탕수수와 사탕무만이 세계에서 생산할 수 있는 설탕이 되고 있지만 각각 오키나와 등 열대지역, 홋카이도 등의 한랭지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에는 지역이 제한 적 입니다.
'설탕 벼'는 벼를 일본 내의 어디에서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설탕 생산을 개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설탕 생산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옥수수도 마찬가지로 유전옥조작으로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벼와 같이 옥수수나 밀등에서도 같은 유전자 편집을 실시함으로써, 세계 각지의 사정에 맞춘 당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향후의 전개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http://stylec.co.kr/shop/item.php?it_id=1568704602&cid=3156541440
http://stylec.co.kr/shop/item.php?it_id=1568704602&cid=3156541440&sbn=true
'과학,IT,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많이 먹으면 독? 지금이 제철인 '은행'의 적당량은? (0) | 2020.11.05 |
---|---|
AI로 사람의 얼굴을 좀비로 바꾸는 무료 사이트 소개, 엄청 무서움.. (0) | 2020.11.03 |
오스트레일리아 서식하는 '바구니형 거미줄'에는 '발수 효과와 먹이를 유인하는 특수한 실'이 사용되고 있었다. (0) | 2020.10.26 |
태양광 패널 표면에 '단순한 모양'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빛의 흡수 효율이 2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 (0) | 2020.10.20 |
유리가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임을 도쿄대학 등이 해명!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