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IT,TECH

'물이 있는 공간'은 도시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힐링을 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녹색 공간만큼이나 물이 있는 푸른 공간은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중요할 수 있다


공원이나 가로수길 등의 녹지는 도시지역 생활자들에게 편안함과 상쾌함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를 통해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것은 이들 '녹색 공간'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국 글래스고 칼레드니안 대학(Glasgow Caledonian University) 건강생명과학부에 소속된 미하일 조울지 씨 연구팀은 수로와 운하, 호수 등 푸른 공간이 도시인들의 정신건강에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고했습니다.

도시 지역에 수로와 연못을 도입하는 것이 향후 도시계획에는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본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2년 7월 29일자 과학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습니다.

요약

  • 운하가 재생됨에 따라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다
  • 운하 재생이 힘든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개선하다



운하가 재생됨에 따라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다


녹색 공간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좋은 영향을 준다


현재의 도시 개발에서는 녹지를 포함한 계획이 일반적입니다.

이것은 환경 문제에만 접근한 것이 아닙니다.

사람들의 정신건강은 빌딩이나 기계만의 무기질 공간보다 공원이나 가로수길 등의 식물이 존재하는 공간이 더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녹색공간이 우리에게 힐링을 주는 것은 많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이 실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 그 밖에도 우리의 정신건강을 향상시켜 주는 요소는 없는 것일까요?

조울지 씨의 연구팀은 10년간 물이 있는 공간이 인간에게 가져올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영국 도시 글래스고 주변의 환경과 그곳에 사는 총 13만 2788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된 것입니다.



글래스고 내의 포스 앤드 클라이드 운하.폐쇄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다


1963년 250년 역사의 포스 앤드 클라이드 운하가 폐쇄되면서 폐기물이 가득한 쓰레기장으로 변모했습니다.

이 운하는 글래스고 근처를 흐르고 있었기 때문에 폐쇄와 동시에 글래스고를 포함한 운하를 따라 이 지역은 큰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2000년에는 운하의 재생을 개시한 후
2006년에는 레크리에이션 공간으로서 재오픈하게 됐습니다

즉 글래스고 주변에서는 운하가 부활하면서 '물이 없는 공간'에서 '물이 있는 공간'으로 크게 변화한 셈이죠.

이 점에 착안한 연구팀은 글래스고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물이 있는 공간이 어떤 영향을 초래하는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운하의 재생이 힘든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개선하다


글래스고 주변은 경제적으로 어렵고 생활이 어려운 지역입니다.

따라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정신적인 문제를 갖기 쉽고 정신건강 개선이 큰 과제가 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10년에 걸친 조사 결과 운하의 재생이 이들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포스 앤드 클라이드 운하가 재생되어 '물이 있는 공간'이 도시로 되돌아간다.


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운 사람들로 6%, 중산층 정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로 4%의 정신적 건강 개선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파란색 공간에 의한 정신건강 개선 효과는 녹색공간이 가져다주는 효과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시사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또 글래스고 칼레도니안 대학에서 진행된 2022년 다른 연구에서는 재생된 포스 앤드 클라이드 운하 주변에 살면서 심혈관질환, 뇌졸중, 고혈압에 걸릴 위험성이 10% 이상 떨어진다고 보고됐습니다.

다만 현 단계에서는 이들 결과와 이번 정신건강 개선의 명확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도시에 수로나 연못을 추가하면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좋은 영향을 준다.


하지만 물이 있는 공간은 우리 정신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정신건강 개선과 질병의 위험 저하로 이어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점은 향후의 연구에 의해서 해명해 갈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앞으로의 도시계획에는 녹지 도입만큼이나 수로와 호수의 도입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 좋다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파란색 공간 도입의 우선순위에 대해 이번 연구가 보여주듯이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원문은 아래링크를 참고하세요.

A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study of the modifying effect of urban blue space o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mental health, 2009–2018



https://www.stylec.co.kr/short/V6F4H1EGAR

[STYLE C] 라온포스처 자세교정밴드 LAO001ST

17% OFF → 33,900원, 공유판매 시 10% 추가 적립!

stylec.onelink.m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