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행성인 화성은 이전부터 인류의 이주처로 기대가 높았습니다.
NASA는 2033년까지 화성 유인탐사를 목적으로 내세웠고 민간 기업인 스페이스X도 화성도시 건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화성에서 인류가 생활하는데 큰 장벽이 되는 것이 '대기'입니다만, 2021년 2월 16일, 과학자들이 '광합성을 실시하는 시아노 박테리아가 화성에서도 성장 가능하다'라고 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화성의 대기는 95%의 이산화탄소, 3%의 질소가 차지하지하고 있지만 시아노박테리아는 양쪽을 모두 흡수하여 탄소고정 및 질소고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화성의 대기압은 약 6hPa~11hPa로 지구의 100분의 1 정도이며, 이러한 조건화에서는 박테리아의 대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구 대기를 화성에서 재현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화성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시아노박테리아를 찾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어요.
과학자들은 100hPa라는 저압을 재현할 수 있는 바이오리액터 'Atmos'를 개발했다.
내부에 유리와 강철로 만든 9개의 용기를 두고, 내부를 질소와 이산화탄소로 채워 화성 퇴적층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과 유황, 칼슘 등의 영양소가 담긴 배지를 설치했습니다.
다음으로 이전 실험에서 가혹한 조건에서 견디는 것으로 나타난 '아나베나속'의 시아노박테리아를 Atmos에 동봉하여 10일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활발한 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과학자들은 성장한 아나베나속을 건조시켜 대장균의 기질로 이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아노박테리아에서 얻어지는 당과 아미노산이 다른 세균에게 영양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실증됐으며 과학자들은 화성에서도 식품과 약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말합니다.
과학자들은 보다 화성에 가까운 조건에서의 실험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시아노박테리아의 다른 종이나 다른 영양 조건에서의 연구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합니다.
참고원문은 아래링크를 참고하세요
Biotech fit for the Red Planet
(-31%)
http://stylec.co.kr/shop/item.php?it_id=1613635414&cid=3156541440
'과학,IT,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난화로 도롱뇽이 대형화 산란 알 수도 30% 증가 도쿄도립대학 장기간조사 (0) | 2021.02.21 |
---|---|
음주량이 매일 증대하게 되는 상태의 뇌 구조를 동북대(東北大)가 해명 (0) | 2021.02.20 |
테슬라 신뢰성 순위도 16위로 추락 마쓰다 첫 1위진입-미 잡지조사 자동차신뢰도 (0) | 2021.02.19 |
과학자가 빛의 반응으로 공중부양으로 이동하는 작은 '비행접시'를 발명.화성탐사에 쓰일 날이 올지도? (0) | 2021.02.18 |
사용이 끝난 '일회용 손난로'로…오사카 만의 재활용 프로젝트 (0) | 2021.02.17 |